맨위로가기

알바니아 정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바니아 정교회는 알바니아에 위치한 자치 정교회로, 기독교는 1세기에 알바니아 지역에 전파되었다. 1054년 동서 교회 분열 이후 알바니아는 북부의 가톨릭과 남부의 정교회로 나뉘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의 관할 아래 있었으며, 19세기에는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의 영향을 받아 알바니아어 사용과 자치 교회 설립을 추진했다. 1937년 자치권을 획득했으나, 엔베르 호자 정권의 무신론 정책으로 큰 탄압을 받았다. 1991년 종교의 자유가 회복된 후 부흥을 거듭하여, 현재 사회 봉사, 교육, 문화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그리스 정교회의 영향력, 민족주의적 경향, 사제 부족 등과 같은 과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알바니아 정교회
기본 정보
알바니아 정교회
알바니아 정교회 휘장
공식 명칭알바니아 정교회
약칭해당 없음
분류해당 없음
성향해당 없음
경전해당 없음
신학해당 없음
정치 체제해당 없음
통치해당 없음
수장 직함해당 없음
수장해당 없음
수석 주교아나스타시오스 대주교
주교 수8명
사제 수135명
교구 수911개
수도원 수150개
지역해당 없음
사용 언어알바니아어
전례해당 없음
본부티라나 부활 대성당
관할 지역알바니아 및 알바니아 디아스포라
기원해당 없음
설립자테오판 스틸리안 놀리
독립1922년 9월 17일
승인1937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으로부터 독립 교회로 승인받음.
분리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분기해당 없음
병합해당 없음
흡수해당 없음
합병해당 없음
소멸해당 없음
신도 수50만 명 - 80만 명 (주장), 디아스포라를 고려하면 훨씬 더 많음.
선교사해당 없음
교회 수해당 없음
양로원해당 없음
지원해당 없음
다른 이름해당 없음
웹사이트알바니아 정교회 공식 웹사이트
교회 내부 정보
전례 언어알바니아어
성가 전통비잔틴 성가 및 폴리포니 성가
달력수정 율리우스력

2. 역사

알바니아 정교회의 역사는 알바니아의 기독교 역사와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초기 기독교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알바니아 정교회는 창립 이래 많은 고난을 겪었다. 초창기에는 예배에 그리스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알바니아인들과 알바니아 민족주의자들에게 위협으로 여겨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고통을 받았고, 그 후의 공산주의 체제 하에서, 특히 알바니아가 무신론 국가를 선포한 1967년 이후로는 국민들이 공적으로든 사적으로든 신앙을 표현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1991년 신앙의 자유가 회복되면서 알바니아 정교회는 부활하여 250개 이상의 교회당이 재건 또는 개축되었고, 100명 이상의 성직자가 서품되었다. 현재는 다음 4개의 교구가 존재한다.

2. 1. 초기 기독교와 동서 분열

알바니아의 기독교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바울과 함께 유대선교사들이 발칸반도를 방문한 서기 1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알바니아어의 기독교 관련 어휘는 대부분 라틴어이며, "축복하다", "제단", "성찬을 받다"와 같은 기본 용어도 포함됩니다. 이는 알바니아인들이 후대에 "로마 가톨릭"으로 알려지게 될 라틴어 기반 전례와 교회 질서 아래 기독교화되었음을 나타냅니다.[6]

교회적으로 알바니아의 기독교인들은 일리리쿰 주의 일부로서 로마 주교의 관할(2세기~8세기) 아래 있었습니다.[7] 서기 732년에서 733년 사이에 일리리쿰의 교회 관할권은 콘스탄티노플의 세계 총대주교청으로 이관되었습니다.[8][7] 1054년의 동서 교회 분열은 기독교가 가톨릭정교회라는 두 갈래로 분열되는 것을 공식화했는데, 이는 알바니아에서 북부의 가톨릭과 남부의 정교회가 등장하면서 반영되었습니다.[7]

2. 2.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 당국이 동방 정교회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면서, 18세기 후반까지 정교회는 관용을 받았다.[9][10][11] 알바니아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에 통합되었으며, 중부와 남동부 알바니아는 오흐리드 대주교구 관할, 남서부 알바니아는 요아니나 대교구 관할이었다.[12][13]

18세기 후반, 정교회의 빈곤, 문맹 성직자, 일부 지역 성직자 부족, 알바니아어가 아닌 예배[9][14][16][15], 성직 매매 등으로 오흐리드 대주교구가 쇠퇴하면서, 두르러스와 남부 알바니아 주교구는 신자들의 신앙 약화와 이슬람으로의 개종을 막지 못했다.[14][16]

19세기 중반, 탄지마트 개혁으로 비무슬림에게 군 복무가 부과되자, 대다수 알바니아인들이 무슬림이 되면서 정교회는 신자들을 잃었다.

나움 베킬하르히(Naum Veqilharxhi) 흉상, 코르처(Korçë).


19세기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 아래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은 그리스어로 예배와 교육을 받았다. 그리스어는 남부 지역의 공용어였다.[18] 후기 오스만 시대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의 정치적 사상은 분열되었다. 대부분은 오스만 통치 종식을 원했지만, 일부 상류층은 그리스 국가 편입을 원했고, 그리스-알바니아 협력, 연방 국가, 이중 군주제를 추구하는 사람도 있었으며, 알바니아 국가 건설을 추구하는 사람도 있었다.[17][18][19]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에게 '알바니아 민족주의'는 정교회 신앙을 통해 연결된 헬레니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동방 위기 동안 에피루스 일부 지역을 둘러싼 알바니아와 그리스 민족 운동 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일부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은 이러한 전제를 거부했다.[32][21][20] 이러한 문제는 그리스 민족주의자들에 대한 반발을 불러일으켜 알바니아인들의 독자적인 문화 정체성 강조에 대한 열망을 고조시켰다.[21][22]

알바니아인들 사이의 종교적 분열은 알바니아 민족주의가 종교를 기반으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했고, 그 결과 알바니아 민족주의는 초기부터[23] 나움 베킬하르히의 저술에서 볼 수 있듯이 종교 간 협력을 증진하는 경향을 보였다.[24] 알바니아인들 중 정교회 신자들은 소수였지만,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은 정교회 신자들 사이에서 시작되어 다른 종교 공동체로 확산되었다.[25] 특히 해외[26]와 코르처 및 인근 지역의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은 공유하는 사회 정치적 알바니아의 이익과 목표에 관해 무슬림 알바니아인들과 협력하면서 이 운동에 참여했는데, 이는 에피루스를 그리스에 편입하려는 그리스의 열망을 위협했고, 알바니아-그리스 연합을 추구하는 그리스인들은 알바니아인들 사이의 다른 외국 세력의 영향에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리스에 우려를 불러일으켰다.[27][28][29] 그리스 학교가 한동안 정교회 아이들이 교육받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고, 그리스 학교에서 아이들은 그리스 민족주의에 노출되었지만, 정교회 알바니아인들은 알바니아 국가 독립 운동에서 적극적이고 종종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종종 자신들과 가족들에게 큰 희생을 치렀다.[31]

20세기 초, 정교회 신자들이 정치권을 통해 총대주교청과 그리스에 의해 점점 동화되던 시기에, '알바니아 정교회' 또는 알바니아적 정교회 표현을 만들려는 생각이 해외에서 등장했다.[32] 정교회는 그리스 정체성과 관련이 있었기 때문에, 이 운동의 부상은 그리스 민족 의식 형성을 방해했기 때문에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했다.[33] 알바니아 정교회 공동체에는 야니 브레토, 스피로 디네, 판 놀리와 같은 인물들이 민족 운동에 참여했는데, 그중 일부는 알바니아 정교회를 옹호하여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헬레니즘화 과정을 억제하려고 했다.[42][34] 1905년, 사제 크리스토 네고바니는 고향 네고반(플람푸로, 플로리나)에서 처음으로 알바니아어로 된 정교회 예배를 도입했는데,[37][36][38] 그리스 안다르테스에 의해 카스토리아의 게르마노스 카라반겔리스 주교의 지시로 살해당했고, 이는 알바니아 민족 운동에 반대했던 코르처의 포티오스 대주교의 보복 살인으로 이어졌다.[35][36][37][38] 1907년, 알바니아 정교회 이민자 크리스타크 디시니카는 민족주의 활동에 참여한 알바니아인이라는 이유로 미국에서 현지 그리스 정교회 사제에 의해 장례식을 거부당했다.[39] 허드슨 사건으로 알려진 이 사건은 이민 온 알바니아 정교회 공동체가 그리스의 이레덴티즘에 맞서고자 판 놀리 주도하에 알바니아 정교회를 구성하도록 자극했다.[39][40][41][42]

알바니아 정교회 깃발


1908년 3월 18일, 허드슨 사건의 결과로 판 놀리는 미국에서 러시아 주교 플라톤(플라톤 쿨부시)에 의해 사제로 서임되었다.[46][43][44][45] 놀리는 알바니아계 미국인 공동체에서 처음으로 알바니아어로 정교회 예배(1908년 3월)를 집전했다. 놀리는 또한 예배를 알바니아어로 번역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고 미국의 알바니아 정교회 공동체 지도자로 부상했다. 1911년 그는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불가리아의 알바니아 정교회 디아스포라를 방문했다.[46]

2. 3. 알바니아 민족주의와 독립 교회 운동

19세기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은 정교회 신자들 사이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들은 그리스어 예배와 교육에 반대하며 알바니아어 사용을 주장했다.[25] 나움 베킬하르히(Naum Veqilharxhi)는 알바니아 민족주의가 종교를 기반으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하고 종교 간 협력을 증진하는 경향을 보였다.[23][24]

해외[26]와 코르처(Korçë) 및 인근 지역의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은 무슬림 알바니아인들과 협력하면서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했다.[27] 20세기 초, 정교회 신자들이 총대주교청과 그리스에 의해 동화되던 시기에, '알바니아 정교회'를 만들려는 생각이 해외에서 등장했다.[32] 야니 브레토(Jani Vreto), 스피로 디네(Spiro Dine), 판 놀리(Fan Noli) 등은 알바니아 정교회를 옹호하여 헬레니즘화 과정을 억제하려고 했다.[42][34]

1905년, 사제 크리스토 네고바니(Kristo Negovani)는 고향에서 처음으로 알바니아어로 된 정교회 예배를 도입했는데,[37][36][38] 그리스 안다르테스(andartes)에 의해 살해당했고, 이는 알바니아 민족 운동에 반대했던 코르처(Korçë)의 포티오스(Photios) 대주교의 보복 살인으로 이어졌다.[35][36][37][38]

1907년, 알바니아 정교회 이민자 크리스타크 디시니카(Kristaq Dishnica)는 미국에서 현지 그리스 정교회 사제에 의해 장례식을 거부당했다.[39] 허드슨 사건(Hudson incident)으로 알려진 이 사건은 알바니아 정교회 공동체가 판 놀리(Fan Noli) 주도하에 알바니아 정교회를 구성하도록 자극했다.[39][40][41][42]

알바니아 정교회 자치교회의 창립자인 판 놀리(Fan Noli) 주교


1908년, 판 놀리(Fan Noli)는 미국에서 러시아 주교에 의해 사제로 서임되었다.[46][43][44][45] 놀리는 알바니아계 미국인 공동체에서 처음으로 알바니아어로 정교회 예배를 집전했다. 놀리는 예배를 알바니아어로 번역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고 미국의 알바니아 정교회 공동체 지도자로 부상했다.[46]

2. 4. 알바니아 정교회 자치권 획득



1912년 알바니아 독립 이후, 판 놀리는 1924년 알바니아의 총리가 된 중요한 정치 인물로, 알바니아로 돌아와 알바니아 정교회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46] 1922년 9월 17일, 베라트에서 열린 제1차 정교회 공의회는 공식적으로 알바니아 정교회의 기반을 마련하고 자치권을 선포했다.[39][47][48][1] 판 놀리는 코르체 주교 겸 알바니아의 원수로 서임되었고, 교회 설립은 알바니아 국가 통합 유지를 위한 중요한 발전으로 여겨졌다.[39][47][48]

1929년 6월 29일 코르체에서 열린 두 번째 공의회에서는 첫 번째 규약을 수정한 두 번째 규약을 채택했다.[49] 1937년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은 알바니아 정교회의 독립 또는 자치권을 인정했다.[39]

2. 5. 공산주의 정권의 탄압

엔베르 호자 독재 시대에 알바니아 정교회는 큰 고통을 겪었다. 모든 교회는 정부의 통제하에 놓였고, 종교 기관이 소유했던 토지는 국가에 의해 몰수되었다. 학교에서의 종교 교육은 금지되었다.[53] 1952년 대주교 크리스토폴이 시체로 발견되었는데, 처형되었다는 의견이 압도적이다.

1967년 호자는 국가 내의 모든 종교 건물을 폐쇄하고 알바니아를 세계 최초의 무신론 국가로 선포했다. 공개적이든 사적이든 모든 종교 표현이 금지되었다. 수백 명의 성직자들이 살해되거나 투옥되었다. 이러한 정책의 결과로, 총 600개의 정교회 교회가 파괴되었으며(1944년에는 1,600개 존재), 정교회 공동체의 다른 건물들도 강제로 종교적 기능을 박탈당했다.[54]

2. 6. 민주화 이후의 부흥

1991년 신앙의 자유가 회복되면서 알바니아 정교회는 부활을 맞이하여 250개 이상의 교회당이 재건 또는 개축되었고, 100명 이상의 성직자가 서품되었다.[58] 1992년에는 전 세계 총대주교가 아나스타시오스(Anastasios)를 알바니아 교회의 총대주교로 임명했다.[55] 그는 1992년 6월 24일에 선출되어 8월 2일에 즉위했다.[55]

아나스타시오스는 1992년에 처음에는 사용되지 않던 호텔에서 신학교를 설립했고, 1996년에는 두르러스 항구에서 15km 떨어진 션 블라시(Shën Vlash)에 자체 건물로 이전했다. 2011년 2월 기준으로 145명의 성직자가 있었는데, 모두 그리스도 부활 신학교(Resurrection of Christ Theological Academy)를 졸업한 알바니아 시민들이었다.[57] 이 신학교는 또한 교리 교육과 다른 교회 활동에서 다양한 봉사를 위한 새로운 회원들을 양성하고 있다.

두르러스에 1994년에서 2002년 사이에 지어진 교회


지금까지 150개의 새로운 교회가 건설되었고, 60개의 수도원과 160개 이상의 교회가 수리되었다.[58] 많은 건물이 건설되었고, 다른 건물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매입되어 재건축되었다. 총 약 450개의 건설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건설 프로젝트와 일자리 제공을 통해 알바니아 정교회는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많은 지역 건축업자와 수십 명의 노동자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투자자 중 하나이다.

활발한 전례 생활을 하는 정교회 교구가 대부분의 도시와 마을에 설립되었다. 전례, 설교 및 교리 교육 사역이 확대되어 성직자와 평신도 모두의 참여가 증가했다. 교회의 사역을 돕기 위해 정교회 여성과 정교회 지식인 등 여러 단체가 조직되었다. 대부분의 교구에서는 알바니아어로 전례를 거행하지만, 그리스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된다. 그리스계 소수 민족 지역에서는 전례가 그리스어로 거행된다.[56]

3. 특징

알바니아 정교회는 자치 정교회이며, 티라나-두러스 대주교를 수장으로 하는 성 시노드(주교회의)가 교회를 운영한다.[62] 현재 티라나 대주교는 아나스타시오스이다.

1997년에 성 소의회가 설립되었으며, 현재 알바니아 정교회는 4개의 교구로 구성되어 있다.[62]

교구관할 지역수장연도
티라나-두르러스 대주교구티라나, 두러스, 엘바산아나스타시오스 대주교1992-
코르처 대교구코르처(요한 펠루시)1999-
베라트, 카니네, 블로레 대교구베라트, 카니네, 블로레아스티2024-
지로카스트러, 사란데, 히마레 대교구지로카스트러, 사란데, 히마레지미터르 지로카스트러인2004-
엘바산, 슈파트, 리브라즈드 대교구엘바산, 슈파트, 리브라즈드안돈2017-
아폴로니아와 피에르 대교구아폴로니아, 피에르니콜라 아폴로니아인2014-
아만티아 대교구아만티아나타나일2017-
크루야 주교크루야아나스타시2024-
사무총장 수석사제야니 트레비카 신부



알바니아 정교회 주교좌


알바니아 정교회는 사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1999년 티라나에 "수태고지" 정교회 진단 센터를 설립하여 23개의 다양한 진료 과목과 4개의 의료 클리닉, 이동식 치과 클리닉을 통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랑의 봉사"(Diakonia Agapes) 부서를 통해 조산사와 간호사의 역할 증진을 위한 교육과 지원을 제공한다.[61]

공산주의 붕괴 이후 헌법 국민투표, 내전 등 정치·사회적 위기 상황에서 식량, 의류, 의약품 등을 지원했다. 산악 지역 개발, 도로 건설, 상수도 개선, 아동 건강 교육, 농촌 보건 센터 건설, 학교, 고아원, 병원, 장애인 시설, 노인 요양원, 교도소 지원, 운동장 건설, 무료 급식소 운영 등 다양한 사회 프로그램을 지원했다.[59] 특히 1999년 코소보 난민 사태 당시 1200만달러 이상의 인도주의적 프로그램을 주도하여 난민들을 위한 캠프를 운영하고 식량, 의류, 의료 등을 제공했다.

또한, 두 개의 교회 고등학교, 3개의 초등학교, 17개의 어린이집, 직업 훈련 기관인 "사랑의 정신" 두 곳을 설립했다. 지로카스터에는 직업학교, 고아원, 여학생 기숙사를 설립하고 공립학교를 지원했다.[59] 2001년에는 환경 프로그램을 시작했다.[59]

문화유산 사무소를 설립하여 국가 문화재로 지정된 정교회 건물을 관리하고, 여러 합창단을 조직하고 비잔틴 합창단을 결성하여 음반을 제작했다. 이콘 복원 및 그림 작업장을 설립하여 예술가를 양성하고 이콘 제작 전통을 부활시켰다. 학술 출판물, 다큐멘터리 영화, 학술 심포지엄, 전시회 등도 후원한다.

알바니아 정교회는 유럽 교회 회의, 세계 교회 협의회, "평화를 위한 종교들" 등 국제 종교 행사에 적극 참여하고 에큐메니칼 회의와 프로그램에도 참여하여 평화로운 협력과 연대에 기여하고 있다.

3. 1. 예배와 언어

대부분의 소교구에서는 알바니아어가 사용되지만, 다민족이 혼재하여 그리스어나 아르마니아어가 주된 언어인 지역에서는 예배에 그리스어도 사용된다. 남서부 도시 사란다(Sarandë)에서는 알바니아어를 예배에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37][36][38]

19세기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 아래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은 그리스어로 예배를 드리고 교육을 받았다. 그리스어는 남부 지역의 공용어(lingua franca)이기도 했다.[18] 20세기 초, 정교회 신자들이 정치권을 통해 총대주교청과 그리스에 의해 점점 동화되던 시기에, '알바니아 정교회' 또는 알바니아적 정교회 표현을 만들려는 생각이 해외에서 등장했다.[32] 정교회가 그리스 정체성과 관련 있었기 때문에, 이 운동의 부상은 그리스 민족 의식 형성을 방해하여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했다.[33]

알바니아 정교회 공동체에는 야니 브레토(Jani Vreto), 스피로 디네(Spiro Dine), 판 놀리(Fan Noli)와 같은 인물들이 민족 운동에 참여했는데, 그중 일부는 알바니아 정교회를 옹호하여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헬레니즘화 과정을 억제하려고 했다.[42][34] 1905년, 사제 크리스토 네고바니(Kristo Negovani)는 고향 네고반(Negovan)(플람푸로, 플로리나(Flampouro, Florina))에서 처음으로 알바니아어로 된 정교회 예배를 도입했다.[37][36][38]

1908년 3월 18일, 허드슨 사건(Hudson incident)의 결과로 판 놀리(Fan Noli)는 미국에서 러시아 주교 플라톤(Platon)에 의해 사제로 서임되었다.[46][43][44][45] 놀리는 알바니아계 미국인 공동체에서 처음으로 알바니아어로 정교회 예배를 집전했다. 놀리는 또한 예배를 알바니아어로 번역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고 미국의 알바니아 정교회 공동체 지도자로 부상했다. 1911년 그는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불가리아의 알바니아 정교회 디아스포라를 방문했다.[46]

아나스타시오스 대주교는 교회의 부흥은 "알바니아인의" 교회 재건이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알바니아 정교회에 그리스 정교회의 영향력은 강해졌다. 예배 관련 서적 및 기타 문헌은 1910년부터 1940년대까지 알바니아어로 작성되었지만, 아나스타시오스가 대주교로 추대된 이후로는 알바니아어 출판물이 거의 유통되지 않았다. 정교도 알바니아인들은 영국 및 해외 성서 협회가 1879년에 출판한, 흠정역(King James Version)을 기반으로 방언을 사용한 번역본인 신약 성경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알바니아인들이 일상생활에서는 표준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데도 말이다. 현재는 알바니아 성서 협회에 의해 새 번역 성경이 제작되고 있다.

3. 2. 조직 및 교구

알바니아 정교회는 자치 정교회이며, 티라나-두러스 대주교를 수장으로 하는 성 시노드(주교회의)가 교회를 운영한다.[62] 현재 티라나 대주교는 아나스타시오스이다.

성 소의회는 1997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알바니아 정교회는 4개의 교구가 있다.[62]

교구관할 지역수장연도
티라나-두르러스 대주교구티라나, 두러스, 엘바산아나스타시오스 대주교1992-
코르처 대교구코르처(요한 펠루시)1999-
베라트, 카니네, 블로레 대교구베라트, 카니네, 블로레아스티2024-
지로카스트러, 사란데, 히마레 대교구지로카스트러, 사란데, 히마레지미터르 지로카스트러인2004-
엘바산, 슈파트, 리브라즈드 대교구엘바산, 슈파트, 리브라즈드안돈2017-
아폴로니아와 피에르 대교구아폴로니아, 피에르니콜라 아폴로니아인2014-
아만티아 대교구아만티아나타나일2017-
크루야 주교크루야아나스타시2024-
사무총장 수석사제야니 트레비카 신부


3. 3. 사회 활동

알바니아 정교회는 1999년 티라나에 "수태고지" 정교회 진단 센터를 설립하여 23개의 다양한 진료 과목과 4개의 의료 클리닉, 이동식 치과 클리닉을 통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랑의 봉사"(Diakonia Agapes) 부서는 조산사와 간호사의 역할 증진을 위한 교육과 지원을 제공한다.[61]

1992년 공산주의 붕괴, 1994년 헌법 국민투표, 1997년 내전 등 정치·사회적 위기 상황에서 식량, 의류, 의약품 등을 지원했다. 산악 지역 개발, 도로 건설, 상수도 개선, 아동 건강 교육, 농촌 보건 센터 건설, 학교, 고아원, 병원, 장애인 시설, 노인 요양원, 교도소 지원, 운동장 건설, 무료 급식소 운영 등 다양한 사회 프로그램을 지원했다.[59]

1999년 알바니아가 코소보 난민을 수용했을 때, 알바니아 정교회는 국제 종교 단체들과 협력하여 1200만달러 이상의 인도주의적 프로그램을 주도했다. 3만 3천 명의 코소보 난민을 위한 캠프를 운영하고 식량, 의류, 의료 등을 제공했다.

두 개의 교회 고등학교, 3개의 초등학교, 17개의 어린이집, 직업 훈련 기관인 "사랑의 정신" 두 곳을 설립했다. 지로카스터에는 직업학교, 고아원, 여학생 기숙사를 설립하고 공립학교를 지원했다.[59]

2001년에는 환경 프로그램을 시작했다.[59]

문화유산 사무소를 설립하여 국가 문화재로 지정된 정교회 건물을 관리하고, 여러 합창단을 조직하고 비잔틴 합창단을 결성하여 음반을 제작했다. 이콘 복원 및 그림 작업장을 설립하여 예술가를 양성하고 이콘 제작 전통을 부활시켰다. 학술 출판물, 다큐멘터리 영화, 학술 심포지엄, 전시회 등도 후원한다.

알바니아 정교회는 유럽 교회 회의, 세계 교회 협의회, "평화를 위한 종교들" 등 국제 종교 행사에 적극 참여하고 에큐메니칼 회의와 프로그램에도 참여하여 평화로운 협력과 연대에 기여하고 있다.

4. 현대의 과제

1991년 신앙의 자유가 회복되면서 알바니아 정교회는 부흥을 맞이하여 250개 이상의 교회당이 재건 또는 개축되었고, 100명 이상의 하급 성직자가 서품되었다.[1] 현재 티라나, 두러스, 엘바산, 베라트, 카니나, 기로카스터, 코르처에 4개의 교구가 존재한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정교도 인구의 절반이 그리스, 이탈리아, 북미 등지로 이주하면서 사제 부족 문제가 심각해졌고, 이는 미래 알바니아 정교회의 주요 과제로 남아있다.

4. 1. 그리스 정교회의 영향력

19세기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 아래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은 그리스어로 예배와 교육을 받았다. 그리스어는 남부 지역의 공용어이기도 했다.[18] 후기 오스만 시대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의 정치적 사상은 분열되어 있었다. 대부분은 오스만 통치 종식을 원했지만, 일부는 그리스 국가의 일원이 되기를 원했고, 그리스-알바니아 협력 및 연방 국가 또는 이중 군주제를 추구하는 사람들도 있었으며, 알바니아 국가 건설을 추구하는 사람들도 있었다.[17][18][19]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에게 '알바니아 민족주의'는 정교회 신앙을 통해 연결된 헬레니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동방 위기 동안 에피루스 일부 지역을 둘러싼 알바니아와 그리스 민족 운동 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이러한 전제는 일부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에 의해 거부되었다.[32][21][20] 이러한 문제는 그리스 민족주의자들에 대한 반발을 불러일으켜 알바니아인들의 독자적인 문화 정체성 강조에 대한 열망을 고조시켰다.[21][22]

20세기 초, 정교회 신자들이 정치권을 통해 총대주교청과 그리스에 의해 점점 동화되던 시기에, '알바니아 정교회' 또는 알바니아적 정교회 표현을 만들려는 생각이 해외에서 등장했다.[32] 정교회는 그리스 정체성과 관련이 있었기 때문에, 이 운동의 부상은 그리스 민족 의식 형성을 방해했기 때문에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했다.[33] 야니 브레토(Jani Vreto), 스피로 디네(Spiro Dine), 판 놀리(Fan Noli)와 같은 인물들이 민족 운동에 참여했는데, 그중 일부는 알바니아 정교회를 옹호하여 알바니아 정교회 신자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헬레니즘화 과정을 억제하려고 했다.[42][34]

1992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바르톨로메오스 1세는 아테네 대학교 신학자이자 메시니아현 안드루사 명의 주교인 아나스타시오스를 알바니아 정교회의 총대주교 대리로 임명했다. 아나스타시오스는 1992년 6월 24일 티라나 대주교로 지명되었고, 같은 해 8월 2일 새 주교로 추대되었다. 초기에 알바니아 공화국에서는 위험 인물일 가능성이 있는 그리스 민족주의자로 여겨졌지만, 아나스타시오스는 자선 활동을 통해 존경을 얻었고, 현재는 알바니아 정교회의 영적 지도자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알바니아 정교회 교회들은 자국의 수좌주교가 그리스인인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아나스타시오스 대주교는 교회의 부흥은 "알바니아인의" 교회 재건이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그럼에도 알바니아 정교회에 그리스 정교회의 영향력은 강해졌다. 예배 관련 서적 및 기타 문헌은 1910년부터 1940년대까지 알바니아어로 작성되었지만, 아나스타시오스가 대주교로 추대된 이후로는 알바니아어 출판물이 거의 유통되지 않았다.

4. 2. 해외 이주와 사제 부족

1990년대부터 정교도 인구의 절반이 알바니아를 떠나 그리스, 이탈리아, 북미 등지로 이주했지만, 사제직의 필요를 충족할 만한 알바니아 소교구는 확정되지 않았고, 주로 그리스 소교구가 사제직에 배치되고 있다.[1] 이러한 새로운 민족 이산은 알바니아 정교회의 미래 수좌주교에게 여전히 가장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hqiptarortod[...] 2009-12-28
[2] 서적 The Orthodox Church: An Introduction to Its History, Doctrine, and Spiritual Cultu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12-28
[3] 웹사이트 CNEWA - Autocephalous Orthodox Church of Albania http://www.cnewa.org[...]
[4] 웹사이트 Kryesore http://orthodoxalban[...] 2015-09-05
[5] 웹사이트 Albanian Orthodox http://albanianortho[...]
[6] 서적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8
[7]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98
[8] 서적 Byzantine Rome and the Greek Popes: Eastern Influences on Rome and the Papacy from Gregory the Great to Zacharias, A.D. 590-752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07
[9]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94
[10]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98
[11]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10
[12]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10
[13]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10
[14]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67a
[15]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10
[16]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56
[17] 서적 Historia e Shqiperise Academy of Sciences of Albania 1984
[18]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13
[19]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67a
[20]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2
[21]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15
[22]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9
[23] 서적 Albanian Identities: Myth and History
[24] 뉴스 Veqilharxhi, babai I alfabetit edhe abetares shqiptare 2011-10-21
[25] 간행물 Religion in Regard to Albanian National Movement 2014
[26]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4
[27]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11
[28]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967a
[29]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3
[30] 간행물 Greek reaction to developments leading to the Albanian league of Prizren 1982
[31] 서적 History of Albania
[32]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05b
[33]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10
[34]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13
[35] 서적 (추가 정보 필요) 2011
[36] 서적 The nationalist cause was given impetus in 1905 when the Albanian priest and poet, Papa Kristo Negovani, was killed by Greek chauvinists after he had introduced the Albanian language into Orthodox liturgy.
[37] 서적 "In one case, a guerilla band executed Father Kristo Negovani (1875-1905) on 12 February 1905, two days after he had performed a church service in Albanian. To avenge his death, a guerilla leader named Bajo Topulli (1868-1930) waylaid and murdered Phiotos, the bishop of Görice, in September 1906."
[38] 서적 "Negovani... Au début de l'année 1905, avec son frère lui aussi pope et trois autres villageois, il est victime d'une bande grecque et devient le premier « martyr » de la cause nationale albanaise"; para. 8, 26.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Noli... Hoping to eliminate Greek influence within the Albanian Orthodox Church, he focused his early activities on translating the church liturgy into Albanian and establishing an independent Albanian Orthodox Church. The latter he considered as vital to Albania's evolution into a unified nation and as a major blow to the supporters of the Greek 'Great Idea'."
[43] 웹사이트 The 90th Anniversary Historical Trilogy by Denise Lymperis http://www.saintgeor[...] Saint George Cathedral 2010-06-14
[44] 웹사이트 Orthodox Christians in North America 1794 - 1994 http://www.oca.org/M[...] Orthodox Church of America
[45] 서적 Orthodox America, 1794-1976: development of the Orthodox Church in America https://books.google[...] 2010-06-14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hqiptarortod[...] 2009-12-28
[5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hqiptarortod[...] 2009-12-28
[5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hqiptarortod[...] 2009-12-28
[52] 웹사이트 Ligj:10057: 22.01.2009 http://80.78.70.231/[...]
[53] 서적 Out Of Albania: From Crisis Migration to Social Inclusion in Italy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3
[54] 웹사이트 Η Θεολογική Διάσταση του Ποιμαντικού Έργου στην Ορθόδοξη Εκκλησία της Αλβανίας (1992-2012) [The Theological Dimension of Pastoral Work in the Orthodox Church of Albania (1992-2012)] http://ikee.lib.auth[...] Artisotle University of Thessaloniki 2013-06-05
[55] 서적 Albanien: Geographie - historische Anthropologie - Geschichte - Kultur ... By Peter Jordan, Karl Kaser, Walter Lukan, Stephanie Schwandner-Sievers, Holm Sundhaussen https://books.google[...]
[56] 서적 Pilgrimage, Politics and Place-Making in Eastern Europe: Crossing the Border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14
[57] 웹사이트 The preparation of the new clergy and ecclesiastical education http://www.orthodoxa[...]
[58] 웹사이트 Rebuilding http://www.orthodoxa[...]
[59] 서적 The Resurrection of the Church in Albania World Council of Churches Publication 2002-08
[60] 문서 Official Site - Publication
[61] 웹사이트 Overview 1991-2012 http://www.orthodoxa[...]
[62] 웹사이트 The Holy Synod of Albania http://www.orthodoxa[...] 2008-06-16
[63] 웹사이트 The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64]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65]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66] 문서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67] 웹사이트 OCA - Q&A - Greek Orthodox and Russian Orthodox http://oca.org/quest[...]
[68] 뉴스 Albania finds religion after decades of atheism https://www.chicagot[...] 2007-04-18
[69] 웹사이트 보관된 사본 http://shqiptarortod[...] 2009-12-28
[70] 서적 The Orthodox Church: An Introduction to Its History, Doctrine, and Spiritual Cultu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12-28
[7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orthodoxalban[...] 2018-02-20
[72] 웹사이트 http://albanianorth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